미자립교회를 위한 제언
최수남 이사(보배비전교회 담임목사)
교회의 많은 고민들 중에 하나는 재정을 어떻게 사용할까? 그리고 그 재정이 합당하게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고민일 것이다.
필자는 2021년 코로나 시기에 미자립교회 담임목사로 청빙을 받았다. 한국교회의 80% 이상이 미자립교회다. 미자립교회는 교회 운영을 위한 재정이 성도들의 헌금과 외부에서 지원하는 후원금을 합하여 운영되는 것이 현실이다. 미자립교회들의 부족한 재정을 잘 관리하고 사용하도록 돕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 부분을 잘 지원할 수 있다면, 한국교회의 재정건전성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미자립교회를 위한 회계투명성과 재정건전성에 기여할 수 있는 제언을 간략하게 하고자 한다.
한국기독교재정투명성협회의 황호찬 대표께서 저술한 『교회와 돈』은 교회회계의 원리에 대해 1) 청지기의 원리, 2) 신뢰성의 원리, 3) 겸손의 원리, 4) 감독의 원리 등을 설명하고 있다. 미자립교회의 입장에서 보면 이 원리들을 잘 이해하고 교회사역에 적용할 수 있는 성도를 찾기가 어려워 이 원리들을 교회재정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이 원리들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미자립교회에서 이 원리들을 적용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현실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해 본다.
첫째, 사용하기 쉬운 회계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교회들의 회계결산보고를 보면 현금지출 중심의 수지계산서가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회계와 관련된 지식과 인력이 부족한 미자립교회는 현금지출 중심의 수지계산서 작성에도 어려움을 겪는 경우를 접하게 된다. 필자가 담임으로 교회재정보고를 준비하면서 재무상태표, 운영성과표, 수지계산서 등을 모두 작성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를 깨닫게 되었다. 그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알게 된 것은 교회의 재정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적립금, 부채, 당해연도 헌금결산 잔액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재무상태표 작성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교회에서 재무상태표를 작성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 이유는 이렇게 작성하는 것을 모르는 경우와 손쉽게 작성할 수 있는 회계프로그램이 없기 때문인 것 같다.
둘째, 교회 재정담당자에 대한 온/오프라인 교육이 필요하다.
미자립교회의 재정담당자의 주된 업무는 회계출납 업무일 것이다. 헌금을 계수하여 교회통장에 입금하고 교회지출과 관련된 내용을 회계장부나 프로그램에 기입하는 것이다. 하지만 회계장부에 대한 오기 등 문제가 발생할 경우 회계원칙 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해결방법을 찾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교회에서 많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등의 내용을 Q&A와 같은 형식으로 알려준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교회가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서 재정건전성은 그 기초가 될 것이다. 미자립교회들의 기초가 든든히 설 수 있도록 이들에 대한 회계프로그램이 보급되고 교육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소망한다.
미자립교회를 위한 제언
최수남 이사(보배비전교회 담임목사)
교회의 많은 고민들 중에 하나는 재정을 어떻게 사용할까? 그리고 그 재정이 합당하게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고민일 것이다.
필자는 2021년 코로나 시기에 미자립교회 담임목사로 청빙을 받았다. 한국교회의 80% 이상이 미자립교회다. 미자립교회는 교회 운영을 위한 재정이 성도들의 헌금과 외부에서 지원하는 후원금을 합하여 운영되는 것이 현실이다. 미자립교회들의 부족한 재정을 잘 관리하고 사용하도록 돕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 부분을 잘 지원할 수 있다면, 한국교회의 재정건전성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미자립교회를 위한 회계투명성과 재정건전성에 기여할 수 있는 제언을 간략하게 하고자 한다.
한국기독교재정투명성협회의 황호찬 대표께서 저술한 『교회와 돈』은 교회회계의 원리에 대해 1) 청지기의 원리, 2) 신뢰성의 원리, 3) 겸손의 원리, 4) 감독의 원리 등을 설명하고 있다. 미자립교회의 입장에서 보면 이 원리들을 잘 이해하고 교회사역에 적용할 수 있는 성도를 찾기가 어려워 이 원리들을 교회재정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이 원리들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미자립교회에서 이 원리들을 적용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현실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해 본다.
첫째, 사용하기 쉬운 회계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교회들의 회계결산보고를 보면 현금지출 중심의 수지계산서가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회계와 관련된 지식과 인력이 부족한 미자립교회는 현금지출 중심의 수지계산서 작성에도 어려움을 겪는 경우를 접하게 된다. 필자가 담임으로 교회재정보고를 준비하면서 재무상태표, 운영성과표, 수지계산서 등을 모두 작성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를 깨닫게 되었다. 그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알게 된 것은 교회의 재정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적립금, 부채, 당해연도 헌금결산 잔액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재무상태표 작성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교회에서 재무상태표를 작성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 이유는 이렇게 작성하는 것을 모르는 경우와 손쉽게 작성할 수 있는 회계프로그램이 없기 때문인 것 같다.
둘째, 교회 재정담당자에 대한 온/오프라인 교육이 필요하다.
미자립교회의 재정담당자의 주된 업무는 회계출납 업무일 것이다. 헌금을 계수하여 교회통장에 입금하고 교회지출과 관련된 내용을 회계장부나 프로그램에 기입하는 것이다. 하지만 회계장부에 대한 오기 등 문제가 발생할 경우 회계원칙 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해결방법을 찾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교회에서 많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등의 내용을 Q&A와 같은 형식으로 알려준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교회가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서 재정건전성은 그 기초가 될 것이다. 미자립교회들의 기초가 든든히 설 수 있도록 이들에 대한 회계프로그램이 보급되고 교육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소망한다.